2010.11.6.(음10.1.)4세조 휘 정(整) 5세조 인산(仁山)시제사 소식 공혜공 제향 봉향 11월6일 제향에 참여하신 모든분들께 인사올립니다. 2010년 11월6일(음10.1) 4세조 휘 정(整)자 휘 5세조 인산(仁山) 시제사에 많은분들께서 참여해 주셔서 제향을 잘모시게 되었습니다. 특히 지방에서 아침일찍 오시느라 고생 많으셨습니다. 회장으로서 감사의 말씀드립니다. 대단히 고..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1.07
공혜공(諱 整字)시제 안내 경기도 용인시 이동면 묘봉리 산58번지 공혜공 묘역 공혜공 (참판공. 판서공. 승지공.)을 공혜공파라 합니다. 2010년도 공혜공(諱 整字)시제 안내 안녕하십니까? 요사이 산에는 단풍이 절정을 이루고 들에는 오곡백과가 영글어 수확의 기쁨을 만끽하는 늦은 가을이 되었습니다. 그 동안 종문 제위의 평강..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25
여말선초의 명신 청백리 임정선생(林整 : 1356~1413) 용인신문 가사의 사진과 동일하지않아 양해를 구합니다. 여말선초의 명신 청백리 임정선생(林整 : 1354~1413) 청렴결백의 준말 “청백리” 청백리(淸白吏)란 말 그대로 맑고 깨끗한 관리라는 뜻이다. 이는 청렴결백의 준말로서 관직의 수행 능력과 더불어 청렴, 근검, 도덕, 경효, 인의등의 ..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23
증시 교지 (贈諡 敎旨) 교지 충민공 임경업장군 증시 교지 (贈諡 敎旨) 조선 숙종 32년(1706) / 충주 충렬사 소장 임경업 장군에게 숭정대부(崇政大夫)(종1품) 의정부(議政府) 좌찬성(左贊成) 벼슬과 함께 충민공(忠愍公) 이라는 시호를 내리며 발급한 교지이다. 조선은 청나라를 무도한 오랑캐로 인식하고 적개심을 나타낸다는 ..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21
임경업 장군의 칼 추련도(秋蓮刀) 임경업 장군의 칼 추련도(秋蓮刀) 임경업장군의 호신용 칼이었다고 전해지는 이 추련도에는 아래 한시(漢詩) 28자가 새겨져있다. 시호시래부재래 (時呼時來否再來)때여, 때는 다시 오지 않나니 일생일사도재연 (一生一死都在筵)한 번 태어나서 한 번 죽는 것 이 바로 여기에 있도다. 평생..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20
충민공 임경업 장군 추계제향 안내 2010년10월24일 임경업 장군 추계제사에 많이 참석해주시기 바랍니다.(충주 단월동 충렬사) 恭惟 時下 晩春季節에 尊體 錦安하심을 仰賀 저축하나이다. 就悚 今般 忠愍公 林慶業 將軍의 忠節 崇慕의 秋季 享祀를 아래와 같이 奉行 함을 안내드리오니 전국林氏 문중 諸位 께서는 公事多忙 ..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15
임술보 발행 후서(200년전) 임술보(壬戌譜) 후서 (後序) 자정자(子程子)의 말씀을 채미(採味)(상嘗)하여 보건대 天下의 人心을 몰아잡아 관장(管掌) (관섭管攝) 하려던 종족간(宗族間)에 화목(和睦)을 돈독(敦篤)하게 하고 풍속(風俗)을 중후(重厚)하게 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모름지기 본분(本分)을 잊지 아니하도록 하..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06
2010.10.2. 고려대전 대제에 참석해주셔서 감사합니다. 2010.10.2. 고려대전 대제봉행 고려대전 배향위 봉안 東.金. 118 휘 世春 봉안 감사합니다. 2010년10월2일 고려대전 대제에 참석하여 주셔서 대단히 고맙습니다. 고려대전에는 우리중시조 휘 세춘공의 위패를 모셔놓았기때문입니다. 오늘240개 문중의 많은 분들이 참석하여 제향을 올리는데우..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10.03
갈곡선생 행장(葛谷先生 行狀) 갈곡선생 행장 (葛谷先生 行狀) 우리 동방(東方) 임씨(林氏)의 선조(先祖)는 팽성백(彭城伯) 휘 팔급(八及)공 이시니 일찍이 중국(中國)으로부터 동(東)으로 오신 분이시다. 고대(古代) 은(殷)나라 말엽에는 어진 선비와 명신(名臣)들이 위연(蔚然: 무성하다)이 대(世)를 이어오면서 부조(父.. 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2010.09.27
판서공 휘 명산 묘갈명 판서공 휘 명산 묘갈명 (判書公諱命山墓碣銘) 안성(安城)고을 동면(東面) 모산동(茅山洞) 건좌(乾坐)의 원(原)에 사척(四尺)의 높이로 대(對)한 것은 일보국숭록대부 행(逸輔國崇祿大夫 行) 이조판서(吏曹判書)인 임공(林公)의 옷과 신을 감춘 곳으로 전후(前後) 두 부인(夫人)을 아울러 합폄(合窆)하여 .. 전객령공계 대종회/판서공파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