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별 호칭 나이별 호칭 * 막 태어났을 때 1~2세 ●남-농경(弄璟), ●여-농와(弄瓦) 예전에는 아들을 낳으면 구슬(경=璟) 장난감을 주었다고 하는데, 여기서 유래하여 아들을 낳은 경사를 농경지경(弄璟之慶)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딸을 낳으면 실패(瓦)를 장난감으로 준 것에서 딸을 낳은 경사를 농..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9.04
東洋 옛 賢人의 名言 東洋 옛 賢人의 名言 東洋 옛 賢人의 名言 뿌리가 깊이 박힌 나무는 베어도 움이 다시 돋는다. 욕심을 뿌리채 뽑지 않으면 다시 자라 괴로움을 받게 된다. 탐욕에서 근심이 생기고, 탐욕에서 두려움이 생긴다. 탐욕에서 벗어나면 무엇이 근심되고 무엇이 두려우랴. -"법구경"에서- 정도(正..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9.02
산 같이 물 같이 살자. 산 같이 물 같이 살자. 텅 빈 마음엔 한계가 없다. 참 성품은 텅 빈 곳에서 스스로 발현된다. 산은 날 보고 산같이 살라하고 물은 날 보고 물같이 살라 한다. 빈 몸으로 왔으니 빈 마음으로 살라고 한다. 집착, 욕심, 아집, 증오 따위를 버리고 빈 그릇이 되어 살라고 한다. 그러면 비었기에 ..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31
노추와 화로 [老醜와 華老] 노추와 화로 [老醜와 華老] ◇노추 3가지 첫째 : 냄새가 나는 노인 둘째 : 잘난체 하는 노인 셋째 : 자랑을 잘 하는 노인 ◇화로 3가지 첫째 : 나누고 베푸는 노인 둘째 : 친절하고 배려하는 노인 셋째 : 건강하고 깔끔한 노인 http://m.blog.daum.net/swkor38624/1126?np_nil_b=-2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9
[평생 두고두고 읽어도 너무 좋은 글] [평생 두고두고 읽어도 너무 좋은 글] ●게으른 사람에겐 돈이 따르지 않고 ●변명하는 사람에겐 발전이 따르지 않고 ●거짓말하는 사람에겐 희망이 따르지 않고 ●간사한 사람에겐 친구가 따르지 않는다,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에겐 사랑이 따르지 않고 ●비교하는 사람에겐 만족이 ..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8
길에서 쓰는 편지 82 - 내변산의 비경 직소폭포를 찾다 내변산의 비경 직소폭포를 찾다 오래 전에는 내소사에서 남여치까지의 구간 산행을 자주 했었다. 비탈진 관음봉 산자락엔 물푸레나무가 많았다. 재백이재 널바위에 앉으면 곰소항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도 했다. 재백이재를 지나 어두컴컴한 숲길은 직소폭포까지 이어졌다. 키 작은 ..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7
나이가 들면 . ⌒ ⊂💛⊃ ⌒ ∪\ ⊂💛⊃ ∪\ | 🍃 나이가 들면, 건강한 사람이 가장 부자요, 건강한 사람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요 건강한 사람이 가장 성공한 사람이며, 건강한사람이 세상을 가장 잘 살아온 사람입니다. 건강관리 잘 하시어 장수 하시길 바랍니다 ………✏ http://m.cafe.daum.ne..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6
■ 국제적 안목을 가진 세종대왕 ■ 국제적 안목을 가진 세종대왕 세종대왕이 마지막 숨을 거두기 전에 동부승지(지금의 비서실장) 정이한(鄭而漢)에게 남긴 유언이 세종실록에 남아있다. 뜻밖에도 가족이나 후손들에게 남기는 말씀이 아니었다. 『接待倭、野人, 所係匪輕, ?於平安, 歲久日深, 凡事恐或至於緩弛, 當謹愼..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4
처서(處暑) 【二十四節氣와 俗節】 처서(處暑) 【二十四節氣와 俗節】 ○ 처서는 24절기 중에 14변째 절기이며, ○ 처서는 7월의 中氣이며, ○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어있다, ○ 처서는 태양의 황경이 150°에 도달한 시기이며, ○ 처서는 동지(冬至)로부터 244일째 되는 날이다, ○ 太歲는 乙未이고, 月建은 .. 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2019.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