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나의 이야기

추사고택(秋史故宅) 문화유적 답사

임홍규 2012. 11. 14. 12:23

 

 

                               추사고택(秋史故宅)

 

   구절비룡(九節飛龍)으로 불리는 팔봉산의 한 줄기에 형성된 용산(龍山)자락에

자리한 추사고택은 추사의 증조부이며. 영조대왕의 부마인 월성위 김한신이

1700년대 53칸 규모의 양반 대갓집으로 건립하였으나. 병화로 지금은 34칸만이 남아있다.

 

   추사선생은 1786년 6월 3일 이곳에서 태어났으며.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갈때까지 인근 화암사에서 수도하며. 이곳에서 거주하였다.

   고택왼편의 추사묘는 부인과 합장되어 있으며. 고택오른편에는 증조부 김한신과

화순옹주의 합장묘가 있고. 그 밑에는 정조대왕이 명정하신 화순옹주의 정려문이

충청남도지정 유형문화제 제45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예산의 백송」은 추사가 25세 때 청나라 연경에 다녀오면서 기지고 온 씨를 심은

것으로. 수령은 약 200년 . 수고는 약 10M로 천연기념물 제106호로 지정. 관리되고 있다.

그 후 후손들이 세거(世居)하여 오다가 타인에게 매도된것을. 고 박정희 대통령의 특별배려로

사들여 충청남도지정 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하고. 1977년 유적정화사업을 준공하여

충청남도에서 관리하다가 1980년부터 예산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안  내  도

                                                                                          추사고택

                                                                                   추사선생의 초상화

                                                                                                 안 채

                                                                                    추사선생의  묘소

                                                                   추사선생 증조부 김한선과 화순 옹주 묘소

                                                                      추사선생 증조부 김한선과 화순 옹주 묘소

                                                             청나라에서 씨를 가저와 심은 수령200년된 백송

                                                                                      죽로지실(竹爐之室)         

「차를 끓이는 죽로(겉을 끄겁지 않게 대나무로 감싸서 마든 화로) 가 있는 방」이란뜻으로. 추사가 친구인 황상(黃裳)에게 써준 다실(茶室)이름이다.  예서(隸書)   

       

                               

                                                                                   세한도(국보 제180호)

추사가 제주도에서 유배중이던 1884년 (헌종10년). 제자인 우선(藕船)   이장석(李尙迪 1804~1865)이 자신을 생각하는 마음이 변함없이 지극함에 감동하여 그려준 그림이다.

 

                                                                                        무량수(無量壽)

「한 없는 수명」이란 뜻으로. 불교의 윤회설에 입각하여 쓴글이다.부처님의 법신(法身)은 삼세(三世) 고금을 통하여 항상존제하여 멸하지 않으므로. 그 수명이 실로 무량하여 한이 없기 때문에 무량수라 하였다.

왼쪽의 승련노인(勝蓮老人)은 추사선생의  호(號)이다.

 

 

◎ 성균관 석전교육원 하계 강좌에서 추사고택 역사문화 답사 2012년11월8일 관광뻐스 2대로 김경선 교수의 안내로 자세한 설명을 들어 유익한 답사를 하고 돌아 왔습니다. 충남 예산군신암면 용궁리(예당저수지)에 위치하고 있으니 혹시 그곳에 지나가는 일이 있으시면 한번 들러보고 오시면 합니다.

위의 자료외에도 많이 있으나 다 소개드리지 못하여 죄송합니다.             임홍규.

 

                            열심히 설명하는 김경선 교수

 

                                                                                                  세한도 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