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명(淸明) 【二十四節기와 俗節】
○ 청명(淸明)은 3월 절기이며, 24절기 중 다섯 번째 절기이다,
○ 청명(淸明)은 春分과 穀雨 사이에 들어 있으며,
○ 청명(淸明)은 태양의 환경이 15° 통과할 때이며,
○ 청명(淸明)은 동지로부터 104일째 되는 날이다,
○ 청명(淸明)은 한식(寒食)하루 전이거나 같은날 들 수도 있다,
○ 3월의 절기는 청명(淸明)과 곡우(穀雨)이며,
○ 대표적인 명절로 한식(寒食)과 삼짇날(重三 上巳)이다,
○ 태세(太歲)는 丙申이고, 月建은 壬辰이며, 日辰은 丙辰이다,
○ 卦(괘)는 震(진) 六二이다,
【해설】
청명은 삼월의 절기이며, 곡우는 삼월의 중기이다, 오동나무 꽃이
피기 시작하고 두더지가 종달새로 변한다, 무지개가 나타나기 시작하고,
머구리밥풀(萍(평)이 나기 시작한다, 우는 비둘기 날개를 치기 시작하고,
대승(戴勝)이 뽕나무에 내려와 앉는다,
한식(寒食) 【二十四節氣와 속절(俗節)】
○ 한식(寒食)은 속절(俗節)이며 24節氣가 아니다,(속절이므로 절입시간이 없다
○ 한식(寒食)은 청명(淸明)과 같은 날이거나 다음날 든다,
○ 한식(寒食)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이다,
○ 한식(寒食)은 음력을 기준으로 한 명절이 아니기 때문에 2월에 들 수도
있고, 3월에 들 수도 있다,
○ 한식(寒食)은 설,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의 하나이다,
○ 3월은 절기(節氣)는 청명(淸明) 곡우(穀雨)이고,
○ 3월의 대표적 명절(名節)로는 한식(寒食)과 삼짇날(重三(중삼) 上巳(상사)
이다,
옛날 기록
한식 절사(寒食節祀)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식조(寒食條)
【원문】 도속(都俗) 상묘료존(上墓燎奠) 용정조 한식 단오 추석 사명절
(用正朝 寒食 端午 秋夕四名節) 이주과포혜병면○적지차 제지왈절사
(以酒果脯醯餠麵 ○ 炙之差 祭之曰節祀)
【해설】
우리나라 도시 풍속에 조상의 산소에 가서 묘사를 지내는 행사는 설날 ,
한식, 단오, 추석의 네 명절에 한다, 조상의 묘전에 술, 과일, 포, 식혜,
떡, 국수, 탕, 적등의 제물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낸다,
이것을 “절사(節祀)” 라고 한다,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의적 임꺽정 (0) | 2019.07.17 |
---|---|
[족보와 역사] 은나라 마지막 왕과 임씨 가문 (0) | 2019.07.09 |
※ 세(世)와 대(代) (0) | 2019.03.18 |
寸數(촌수) 計算(계산)하는 法(법) (0) | 2019.03.12 |
평택임씨 목사공파 정기총회 안내(2019년도) (0) | 2019.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