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공 김포종회

寸數(촌수) 計算(계산)하는 法(법)

임홍규 2019. 3. 12. 05:33



 

                    寸數(촌수) 計算(계산) 하는 ()

 

동일직조(同一直祖)와의 계대수(系代數)를 합()한 것이 촌수(寸數)가 된다,

아버지의 형님에는 백부(伯父)와 중부(仲父)가 있으며, 아버지의 아우는 숙부(叔父)인데 촌수(寸數)로는 삼촌(三寸)이다,

 

(), 숙부(叔父)의 아들 사이에는 종형제간(從兄第間)인데 보통 사촌(四寸) 형제(兄弟)라고 한다,

 

또 조부(祖父)의 형제(兄弟)는 종조부(從祖父)라 하며 그의 아들은 종숙(從叔) 또는 당숙(堂叔)이니 촌수(寸數)로는 五寸(오촌)이다, 종숙(從叔)의 아들은 자기(自己)하고는 재종숙형제(再從叔兄弟) 즉 육촌형제(六寸兄弟)간이 된다,

또 증조부(曾祖父)의 형제(兄弟)는 종증조부(從曾祖父), 그의 아들은 재증조부(再從祖父), 그 아들은 재종숙(再從叔)이요, 재종숙(再從叔)의 아들은 삼종형제(三從兄弟) 즉 팔촌형제간(八寸兄弟間)이 된다, 흔히 동고조(同高祖) 팔촌(八寸)이라 하는데 고조부(高祖父)의 아들이 형제(兄弟)분일 경우에 자기(自己)의 대()에 와서는 삼종간(三從間) 즉 팔촌(八寸)이 된다,

 

십촌이상(十寸以上)의 조부(祖父) 항렬(行列)을 속칭(俗稱) 대부(大父)라 한다,

직계(直系) 계촌법(系村法)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오빠는 자기(自己)의 외숙(外叔)이고 편씨(便氏)에는 내구주(內舅主)라 하며, 외숙(外叔)의 아들은 외종형제(外從兄第) 즉 외사촌(外四寸)이며 어머니의 여동생 혹은 언니는 이모(姨母)라 하고 그의 남편(男便)은 이모부(姨母父) 또는 이숙(姨叔)이라 하며 그의 자녀(子女)는 이종남매간(姨從男妹間)이 된다,

또 외숙(外叔)하고 자기(自己)하고는 보통(普通) 구생간(舅甥間)이라 하며, 외숙(外叔)은 자기(自己)보고 생질(甥姪)이라고 한다,

 

아버지의 누님이나 여동생은 자기(自己)에게는 고모(姑母)이며 고모의 아들은 내종사촌(內從四寸) 혹내사촌형제(或內四寸兄弟) 내종자매(內從姉妹)이고 내종(內從)은 자기(自己)보고 외종(外從)이라 하며 따라서 내외종간(內外從間)이라 한다, 고숙(姑叔)은 자기(自己)보고 질()(처의 조카)이라 한다,

 

 

        직계(直系)

 

     從() = === 四寸(사촌)~~五寸(오촌)

     再從(재종) = 六村(육촌)~~ 七寸(칠촌)

     三從(삼종) = 八寸(팔촌)~~ 九寸(구촌)

     四從(사종) = 十寸(십촌)~~十一村(십일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