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世)와 대(代)
시조(始祖)를 일세(一世)로 하여 차례로 따져서 정하는 것이 세(世)이며, 자기를 뺀 나머지를
차례로 따지는 것이 대(代)이다,
예(例)컨데 부자(父子)의 사이가 세(世)로는 이세(二世)이지만 대(代)로는 一代이다, 시조로부터
十四世孫이 되는 사람은 始祖가 13代祖이며 始祖에게는 13代祖이며 始祖에게는 13代에 해당(該當)하는 것이다,
우리는 특히 世와 代를 같은 뜻으로 착각(錯覺) 혼용(混用)하고 있으나 이것은 엄연(嚴然)이
구별(區別) 되어 있다,
즉(卽) 世는 自己까지 합수(合數)하여 계산(計算)한 代數(대수)이며 代는 自己를 빼고 바로
웃代 아버지까지를 합수(合數)하여 계산(計算)한 대수(代數) 말한다,
예(例)를 들면 다음과 같다,
例, 高祖는 나의 四代祖이다, 高祖의 四代孫이다,
이 경우 自己가 합수(合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代를 써야하며 「 世 」로 표시(表示)할 경우는
自己가 합수(合數)되기 때문에 「 五世祖」 또는 「五世孫」 이라는 계산(計算)이 되나 가까운
先祖에는 世를 쓰지 아니하므로 五世祖(高祖)는 四代祖라, 한다,
五代祖 | 玄祖 |
四代祖 | 高祖 |
三代祖 | 曾祖 |
二代祖 | 祖父 |
一代祖 | 父 |
自己 | ○ |
子 | 一代孫 |
孫 | 二代孫 |
曾(증)孫 | 三代孫 |
玄(현)孫 | 四代孫 |
來(내)孫 | 五代孫 |
昆(곤)孫 | 六代孫 |
仍(잉)孫 | 七代孫 |
雲(운)孫 | 八代孫 |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보와 역사] 은나라 마지막 왕과 임씨 가문 (0) | 2019.07.09 |
---|---|
4월5일은 청명(淸明) 4월6일은 한식(寒食) 날입니다, (0) | 2019.04.04 |
寸數(촌수) 計算(계산)하는 法(법) (0) | 2019.03.12 |
평택임씨 목사공파 정기총회 안내(2019년도) (0) | 2019.03.08 |
임씨 유래 (0) | 2019.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