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대 종 회

숭모사(숭모각)제기문

임홍규 2010. 2. 28. 14:08

 

    

                         崇慕祠(崇廟閣)齋記文

                                                                         숭모사(숭모각)제기문

 

유아임성(惟我林性) 저어동국(著於東國)이 구의(久矣)라 시조(始祖)

휘(諱) 파자급자(八字及字)이신 태조공(太祖公)께서 시거평택용주방(始居平澤龍珠坊)하야 수관(受貫)하니

기려불억(基麗不億)이러라 태사공(太師公) 휘(諱) 량저상장군(良貯上將軍)이시고 휘(諱) 무자조(字祖)는 기사적(基事蹟)과 계대소목(系代昭穆)이 불명(不明)하였으나 명공거경(名公巨卿)과 문장거사(文章巨士)

전후상망(前後相望)하여 거호성족야(去乎盛族也)라 역세면정(歷世綿廷)에 착현문장(着現文章)하여  전지간금일(傳之干今日)이나  고대순위(古代順位)를 난기(難記)하니 개탄불금(慨歎不禁)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유아일세(惟我一世)이신 휘(諱) 세 조(世 祖)는 고려충렬왕 조(高麗忠烈王 祖) 문과(文科)를 하시여 세자전객령(世子典客令) 겸(兼) 연희궁부사(衍喜宮副使)를 지내시고  배위(配位)는 정부인 청주경씨

(貞夫人淸州慶氏)요.

父는 문과정의대부(文科正議大夫) 전법판서(典法判書) 휘(諱)는 수(綏)이시다. 묘(墓)는 고양쌍룡동계좌

(高陽雙龍洞癸坐)로 실전(失傳) 되었고

 

이세조(二世祖) 휘(諱) 재 조( 祖)는 고려문과(高麗文科) 예의판서(禮儀判書)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시고 배위配位)는 정경부인 제주고씨(貞敬夫人 濟州高氏)요. 父는 감부시랑(監部侍郞) 휘(諱)는 급(及)이시다. 묘(墓)는 파주 임진강술좌(坡州臨津江戌坐)로 실전(失傳)되었다.

 

이세조(二世祖) 차자 보공(次子 公)은 통훈대부 첨정(通訓大夫 僉正)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역임 했다.

배위(配位)는 정부인 광산김씨(貞夫人 光山金氏)  父는 주호(周鎬)

 묘(墓)는 파주 임진 자좌(坡州臨津 子坐)였으나  남북전쟁으로 출입이 불가하여 후손들의 뜻을 모아

갈곡공파조(葛谷公派祖) 묘소 좌측상부에 설단건립(設壇建立)하고 매년(每年)

숭모사( 崇慕祠)에서 四月一日 향기(亨杞)

 

삼세조(三世祖) 휘(諱) 태(台)이신 사복사윤평양부목감직(司僕寺尹平壤府穆監直)을 지내시고

배위(配位)는 숙부인 원주원씨(淑夫人 原州元氏)요. 父는판도시랑(版圖侍郞) 휘(諱) 업(業)이시다.

묘(墓)는 여주천양 임좌 실전 (驪州川陽  壬坐 失傳)하시다.

 

삼세조(三世祖) 휘(諱)  태 (台)이신  사마문과  전적 (司馬文科 典籍)

배위(配位)는 숙부인 은진송씨 (淑夫人  恩津宋氏)  의필(義弼)  묘(墓)는 실전(失傳)

 

삼세조(三世祖) 휘(諱) 무(茂) 임진생  문과(壬辰生 文科)  통정대부 통예원 좌통예(通政大夫 左通禮)를

지내시고  배위(配位)는 淑夫人 坡平尹氏(淑夫人 坡平尹氏)  묘(墓)는 남북전쟁으로 출입이 불가하여

후손들의 뜻을 모아  갈곡공파조 (葛谷公派祖) 묘소 좌측상부에  설단건립(設壇建立)하고

매년  숭모사(每年 崇慕祠)에서 四月一日 향사(亨杞)

 

자 일세조(自 一世祖)로  지우삼세조(至于三世祖)까지 묘소실전(墓所失傳)됨을

천만후손(千萬後孫)에  죄상(罪狀)이라 아니 할 수 없음으로 조상님(祖上任)에

추모숭의심(追慕崇義心)을  앙양(昻揚)하고  명복(冥福)과  영령(英靈)께옵서

영안(永安)하시기를  기원(圻願)코저  충주시 단월동 충렬사 후편(忠州市 丹月洞 忠烈祠 後便)에

숭모사(崇慕祠)를 건립(謹立)하고  세세년년(歲歲年年) 양 4월 (陽 四月)一日 제사(祭祀)를 봉행(奉行)하니 후손(後孫)된 者여 위선사업(爲先事業)에  전력(全力)을 경주(傾注)하고 유적(遺蹟)이 영세유전(永世遺傳)

토록 면전(勉)하여야 할 것이다.

 

                                                           典客令公系 後孫 一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