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례(祭禮)
(1)제례의 의미
고례에 의하면 “제왕은 하늘에 제사지내고. 제후는 산천에 제사지내며 사대부(士大夫)는 조상에 제사지낸다.”고 하였으니 사람은 누구나 자기를 존재하게 한 근본인 조상에 보답해야 하며 (報本之禮) 그것이 효도(孝道)이다. 효도란 부모와 조상을 극진한 정성과 공경으로 섬기는 일인데. 살아계신 동안 지성으로 섬겨야 하며 돌아가신 후에도 잊는다면 결코 도리라 할 수 없다.
조상에 대한 보답은 살아계신 동안만 하는 것이 아니고 자기가 사라있는 한은 멈출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돌아가신 조상을 살아계신 조상 섬기듯이 모시는 것[事死 如事生]이 효도하며 이는 제례를 통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내가 제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과 같다. [吾不與祭 加不祭]” 하셨으며. 주자께서는 “밥 한 그릇 국 한 그릇이라도 스스로 정성만 다하면 되는 것이다.” 하셨으니 제사는 제수의 많고 적음이나 예의격식 보다도 정성과 공경으로 효를 극진히 하는 마음가짐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절 차례 총설 (0) | 2016.09.12 |
---|---|
기제와 차례의 차이점 (0) | 2016.09.11 |
목사공파 충간공계 어모로 상계표 (0) | 2016.07.19 |
목사공 6세조~16세조 상계표 (0) | 2016.07.16 |
평택임씨 전객령공계 2세조 林 榟 선생 약사 (0) | 2016.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