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분(春分)
24절기의 네번째 절기. 태양의 중심이 춘분점 위에 왔을 때이며,
음력 2월, 양력 3월 20일이다. 태양은 적도 위를 똑바로 비추고
지구상에서는 낮과 밤의 길이가 같다. 이 날은 밤낮의 길이가 같지만,
실제로는 태양이 진 후에도 얼마간은 빛이 남아 있기 때문에 낮이 좀 더
길게 느껴진다. 경칩과 청명의 보름 중간이 바로 춘분이다.
춘분점은 태양이 남쪽에서 북쪽을 향하여 적도를 통과하는 점이다.
춘분을 전후하여 철 이른 화초는 파종을 한다. 그리고 아울러 화단의 흙을
일구어 며칠 남지 않은 식목일을 위하여 씨뿌릴 준비를 한다. 춘분을 즈음하여 농가에서는 농사준비에 바쁘다. 특히, 농사의 시작인 초경(初耕)을 엄숙하게 행하여야만 한해 동안 걱정없이 풍족하게 지낼 수 있다고 믿는다.
또 음력 2월중에는 바람이 많이 분다. '2월 바람에 김치독깨진다', '꽃샘에
설늙은이 얼어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2월 바람은 동짓달 바람처럼 매섭고
차다.
이는 풍신(風神)이 샘이 나서 꽃을 피우지 못하게 바람을 불게 하기 때문이라 한다.
그래서 '꽃샘'이라고 한다. 한편, 이때에는 고기잡이를 나가지 않고 먼 길 가는 배도
타지 않는다. 옛날 중국에서는 춘분기간을 5일을 1후(候)로 하여 3후로 구분하였는데, 초후(初候)에는 제비가 남쪽에서 날아오고, 중후(中候)에는 우레 소리가 들려오며, 말후(末候)에는 그 해에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하였다.
[피안(彼岸)의 시기] 불교에서는 춘분 전후 7일간을 봄의 피안이라 하여 극락왕생의
시기로 본다.
'전객령공계 대종회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주어느날오후-- (0) | 2016.03.23 |
---|---|
어느 아들이 아버지에게 쓴 편지 (0) | 2016.03.21 |
成均館 2016년 3월16일 孔夫子誕降 2567년 春期釋奠 (0) | 2016.03.18 |
*적당하다는 말* (0) | 2016.03.16 |
서산대사와 사명대사 (0) | 2016.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