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秋夕, 한가위, 사배(嘉俳) [二十四節氣와 俗節]
○ 추석은 24절기가 아니고 민소4대 명절(民俗四代名節인) 속절(俗節)이다,
○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
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연중 으뜸 명절이다
○ 가배(嘉俳). 가배일(嘉俳日). 가위.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중추가절(仲秋佳節)이라고 한다,
○ 가위나 한가위는 순수 우리말이며,
○ 가배는 가위를 이두식의 한자로 쓰는 말이다,
《추석의 뜻》
秋夕은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서 추석의 어원을 살펴보면 추석을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가을 저녁 또는 가을의 달빛이 가장 좋은 밤이라는 뜻 이니. 곧 가을의 한가운데 날이란
뜻을 지니고 있는 가을의 달빛이 가장 졸은 밤이란 뜻으로. 달이 유난히 밝고 좋은 명절이
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 용어로서 일 년 중 으뜸명절이라 할 수 있다,
○ 추석은 보름(15일. 유월 유두-6월15일. 칠월 백중-7월15일. 팔월 추석-8월15일.
보름 (가운데 날) 4명절이다,
추석의 유래(由來와 행사(行事)
1) 추석의 유래(由來)
『禮記』에 나오는 조춘일(朝春日). 秋夕月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추석날 밤에는 달빛이
가장 종다고 하여 月夕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신 라 중엽 이후 한자가 성행하게 된 뒤 중국인이 사용하던 중추니. 월석이 니 하는 말을 합해서 축약하여 秋夕이라고 했다는
설이 있다,
가을이라 하면 삼추(三秋)라 하여 음력7월. 8월. 9월을 꼽는다. 이중 가운데 날로 만월명절(滿月名節) 가운데서도 으뜸의 날이 된다.
○ 속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 행사 = 추석 절차
추석성묘. 추석차례. 문소전제. 추석천신굿. 달맞이. 구름보기.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사공파 시제 (6세조님~11세조님) (0) | 2019.10.31 |
---|---|
용인 4,5세조(휘 정 휘 인산) 제향 안내 (0) | 2019.10.24 |
■ 의적 임꺽정 (0) | 2019.07.17 |
[족보와 역사] 은나라 마지막 왕과 임씨 가문 (0) | 2019.07.09 |
4월5일은 청명(淸明) 4월6일은 한식(寒食) 날입니다, (0) | 2019.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