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공 김포종회

설에 하는 일(『東國歲時記』元日條)

임홍규 2019. 2. 4. 11:56


                            설에 하는 일(『東國歲時記』元日條)



1) 정조례 : 서울풍속에 설날아침 일찍 제물을 사당에 진설하고 제사를 지낸다,

                     이것을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한다,

 

2) 설빔 : 남녀어린이들이 모두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이것을 설범(歲粧)

              이라 한다,

 

3) 세배 : 차례가 끝나면 집안 어른들과 나이 많은 어른들을 찾아 새해 첫인사를 드린다,

                이것을 세배(歲拜)라 한다,

 

4) 세찬과 세주 : 세배 때 음식을 대접하는 것을 세찬(歲饌)이라 하고, 이때내는 술을

                     세주(歲酒)라 한다,

 

5) 가래떡과 떡국 : 떡쌀가루를 쪄서 떡판에 놓고 나무자루가 달린 떡메로 무수히 찧은

                       다음 손으로 둥굴리어 기다랗게 늘여 만든것을 가래떡(白餠)이라 한다,

                                  이것을 얄팍하게 돈같이 썰어 장국에다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고

                       끓인 다음 후춧 가루를 친 것을 떡국(餠湯)이라 한다, 떡국은 차례 상에도

                       올리고 손님 대접도 한다, 옛날에 습면(濕麵)이라 하는 것이 바로이것이다,

 

6) 시루떡 : 멥쌀가루와 삶은 팥을 각각 층으로 겹겹으로 깔고 쌀가루를 더 두툼하게

              깔아서  여러 겹으로 하여 찐 것을 시루떡(甑餠)이라 한다

              이것으로 새해를 맞아 여러 신에게 빌 때또는 삭망전(朔望奠)‘제사(祭祀)’

                    에도   올린다(東國歲時記),

 

7) 윷놀이 : (柶戱, 擲柶) : 척사(擲柶) 또는 사희(柶戲)라고도 한다, 붉은 싸리 나무 두 토막을

                               반으로 쪼개어 네 쪽으로 만드는데 길이가 세치 가량이다, 혹 작게

                               는   콩알만큼 만들기도 한다, 이것을 윷[()하고 윷을 던져서

                               노는 것을 윷놀이[柶戲]라 한다, 지봉유설 (芝峯類說)에는

                               탆희 (攤戲)라 하였다, (京都雜誌) 삼국시대 이전부터 전해오는 한국고

                                              유 의 민속놀이로 대개 정월 초 하루부터 보름날까지 즐긴다, 부여족(夫餘

                                              族시대에 5가지 가축을 5부락에 나누어 그 가축들을 경쟁적으로 번식시킬

                                              목적에서 비롯 된 놀이라고 하며, 그에 연유하여 [() 한 밭은 돼지],

                                              [() 두 밭은 개], [() 세 밭은 양], [() 네 밭은 소], [() 다 섯

                                              밭은 양], 말에 비유한 놀이이다, 놀이방법은 일대일 놀이, 편 윷놀이 여러

                                             사람이 돌아가며 노는 방법 등이 있으니 최종 우승 자를 선발하여 시상

                                             (施賞)하기도 한다,

 

8) 복조리(福笊籬) : 설날 아침에 장만하여 벽에 걸어 놓음으로서 한해의 복을 빌었던 조리,

                                    조리는 쌀을 이는 도구로서 대나무를 가늘게 쪼갠 죽사(竹絲)로 엮어 만든

                        것인데 정초에 새로 장만하는 조리를 특별히 복조리라 하였다,” 복조리는

                        있던 것을 쓰지 않고 복조 리 장수에게 산 것을 결었는데 일찍 이른 새벽

                        에 살수록 길하다 여겼다, 따라서 섣달그믐 자정이 지나면 복조리장수들

                        이 조리 사려를 외치며 인가 골목을 돌아다니고 주부들은 다투어 복조                         리를 사는 진풍경을 이룬다, 복을 사는 것이라 여겨 복조리 값을 깎지도 물어보

                                   지도 않았다, 일 년 동안 사용할 수량만큼 조리를 사서 , 성냥, 등을 담 아 문

                                    위나  벽 등에 걸어두는데, 이는 장수(長壽)와 재복(財福)을 바라는 의미를 담은

                                    것 이다지금은 돌을 걸러낸 쌀을 판매하여 조리가 실생활에 필요하지 않게 된

                                    근래에도  정초에 담 너머로 복조리를 던져놓고 다음날 돈을 받아가는  옛 풍습

                                    을 볼 수 있 으 나 설날 복조리를 직접 팔러 다니는 풍습은 점차 사라져가고 장식

                                    품으로 여겨 구입하는 경우가 많아졌다(風俗辭典),



 

9) 복주머니() : 복을 불러들이기 위해 차고 다니는 여러 가지 길상무늬가 수놓인 주머니를 복머니

                      라고 한다, 갖가지 색깔의 비단이나 무 명천으로 둥그스럼한 모양의 각이 진 귀주머

                      니를 만들어 수(), (), (), (), () 등의 글자나 十長生’, ‘박쥐’, 菊花

                      무늬 등을 수놓은 주머니를 남녀노소 구분 없이 즐겨 찾는데 이 렇게 하면 사악한

                      것을 물리칠 수 있고 복이 온다고 믿었다, (風俗辭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