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민공 임경업장군 년보 | |
선조 27년 (1594) |
11월2일 아버지 임황(林篁)과 어머니 파평윤씨의 넷째 아들로 충주에서 출 생. |
광해군 7년 (1615,22세) |
진안대군 7대손 이잠(李潛)의 딸과 결혼. |
광해군 10년 (1618,25세) |
무과에 급제, 갑산(甲山)에서 방추(防秋)함. |
광해군 12년 (1620,27세) |
함경도 삼수 소농보권관(小農堡權管)이 되고 곧 절충장군(折衡將軍) 되었음. 용천도(龍泉刀)을 얻음. |
광해군 14년 (1622,29세) |
4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겸 우림위장에 임명됨. |
인조 2년 (1624,31세) |
이괄난에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1등이 됨.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급됨. |
인조 3년 (1625,32세) |
첨지중추부사 겸 우림위장(羽林衛將)을 거쳐 방답첨사(防踏僉使)에 임명됨. |
인조 4년 (1626,33세) |
5월 전라도 낙안군수(樂安郡守)에 임명됨. |
인조 5년 (1627,34세) |
정묘호란(丁卯胡亂)시 좌영장으로 출전했으나 강화(講和)가 성립되어 낙안으로 되돌아옴. |
인조 6년 (1628,35세) |
2월 인조로부터 표리 일습(임금이 내린옷)을 하사받음. 3월 무고로 낙안군수에서 파직 되고, 그 후 용양부원군으로 임명되고 제찰부 (體察府)의 별장(別將)을 겸함. |
인조 7년 (1629,36세) |
5월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에 임명됨. |
인조 8년 (1630,37세) |
평양중군(平壤中軍)에 임명됨. |
인조 9년 (1631,38세) |
7월 검산산성 방어사(防禦使)가 되어 정묘호란 이후 퇴락한 검산산성, 용골 산성, 운안산성, 능한산성 등을 수축, 숙마(熟馬) 한필을 하사받음. 11월 가선대부 안주목사(安州牧使)에 임명됨. 청북인(淸北人)의 청북 포기 반대 운동의 조종자로 탄핵되어 구금 석방됨. |
인조 10년 (1632,39세) |
2월 아버지 상을 당하여 고향으로 내려감. |
인조 11년 (1633,40세) |
2월 기복(起復)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 영변대도호부사(寧邊大都護府事)로 임명되고 백마산성(白馬山城)을 수축(修築)하고 국방을 강화했음. 3월 청북방어사로서 명나라를 배반한 공유덕과 경중명을 쳐부수어 명나라 황제로 부터 총병(摠兵)에 임명되고 금화와 상금을 받음. 6월 관직을 사퇴하고 부친상에 집상. |
인조 12년 (1634,41세) |
4월 부친상을 탈복. 5월 가선대부(嘉善大夫) 용양위부호군에 복직되고, 의주부윤에 임명됨. 6월 의주부윤 겸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에 임명되고, 의주진병마 겸 절제사 (義州鎭兵馬 兼 節制事)를 겸함. |
인조 13년 (1635,42세) |
4월 조정에서 받은 백금과 비단으로 무역을 하여 12곳 둔전(屯田)을 개설하 여 그 공로로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진함. 11월 잠상(潛商)관계로 파직됨. |
인조 14년 (1636,43세) |
2월 김자점이 주장으로 복직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 의주부윤(義州府尹)에 임명됨. 4월 가의대부 의주부윤에 임명됨. 12월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백마산성을 지키며 국방태세를 강화함. 본국으로 가는 요퇴를 압록강에서 쳐부수고 포로로 잡혀가던 남녀 120여명 과 말 60필 빼앗음. |
인조 15년 (1637,44세) |
1월 모친상을 당하였으나 왕명으로 자리를 뜨지 않음. 4월 청나라 수군장으로 발탁 되어 청군과 합동으로 가도 정벌에 나서 명의 피해를 최소화하였음. 5월 가도정벌의 공으로 청나라 황제로 부터 심양에 에서 비단20필, 잘갖 옷 1령, 은자 100냥, 안장 갖춘 말 1필을 상으로 받아 옴. 7월 자급을 내려 가선대부 의주부윤에 임명됨. 12월 자급을 되찾아 가의대부 의주부윤에 임명됨. |
인조 16년 (1638,45세) |
1월 서울에 왔다가 돌아갈 때 인조로 부터 내구마 1필을 하사 받음. 6월 심양에 은밀히 인마를 보내어 무역하려다 청에 발각되어 철산으로 유배 됨. 8월 자헌대부 용양위 대호군(資憲大夫 龍驤衛 大護軍)에 임명됨. 8월 조방장에 기복하여 군사를 이끌고 심양에 가게 함. 조방장시 위국헌신공로로 숙마 1필을 하사 받음. 9월 자헌대부 평안도(平安道) 병마수군 절도사(兵馬水軍 節度事)겸 안주목사 (安州牧使)에 임명됨. |
인조 17년 (1639,46세) |
10월 정헌대부(正憲大夫) 평안도 병마수군 절도사에 임명됨. |
인조 18년 (1640,47세) |
4월 주사상장(舟師上將)에 임명되어 전선 120척과 격군, 사구, 포수 6000여 명을 이끌고 금주위(錦州衛) 싸움에 참전. 최명길과 밀의하여 승려 독보를 명나라 수군도독 홍승주에게 보내어 이 사실 을 알려 줌. 7월 이후 평안도 절도사로서 해주위, 금주위, 해승보등 진주때는 청장의 지 휘에 진퇴하며 명군과 싸우지 않았음. (총과 활을 허공에 쏘았다고 함) |
인조 19년 (1641,48세) |
1월 배를 버리고 육로로 압록강까지 청의 허와 실을 정탐하고 서울로 돌아 와 왕의 부름을 받음. 2월 청나라의 압력에 의해 삭탈관직(削奪官職)됨. 7월 양서도순검사(兩西都巡檢使) 심연의 군관으로 백의종군(白衣從軍). 12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 임명됨. |
인조 20년 (1642,49세) |
10월 명나라와 내통했다는 죄로 청나라에 압송도중 금교역에서 탈출하여 승 복을 입고 양구현(楊口縣)에서 겨울을 은거함.(체포전 심기원으로부터 은 700냥과 승복등 도움을 받음) |
인조 21년 (1643,50세) |
5월 김자점(金自點)의 종이었던 상인 무금의 주선으로 상선을 가장하여 명나 라로 망명함. 9월 부인 이씨가 심양 옥중에서 자결함. |
인조 22년 (1644,51세) |
연경 등이 함락되고 명이 멸망 직전 겨울동안 석성도에서 귀국길을 기다림. 그 무렵 심기원의 옥사에 임장군의 연류 소식으로 갈 곳을 잃음. |
인조 23년 (1645,52세) |
2월 청나라의 포로가 되어 북경으로 압송, 청왕이 그의 재략(才略)과 의로움 을 아껴 후하게 대우함. |
인조 24년 (1646,53세) |
2월 심기원(沈器遠)의 모반 연류 누명으로 대죄(待罪)하라는 명을 받음. 6월 김자점 등 반역 부청배에 의해 본국으로 압송되어 친국을 당함. 6월20일 심기원의 모반사건 연류 및 국법을 어겼다는 죄로 장살(仗殺)됨. |
숙종 23년 (1697) |
12월 특명으로 관직(官職)이 회복되고 제문(祭文)을 보내 제사를 올려 드림. |
숙종 24년 (1698) |
3월 정헌대부 평안도 병마수군절도사 겸 안주목사 임명됨. |
숙종 32년 (1706) |
4월 충민(忠愍)이란 시호(諡號)을 하사받음. 정헌대부 지중추부사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사 지 훈련원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증시됨. |
영조 2년 (1726) |
충주 달천(忠州 達川)에 충렬사(忠烈祠)를 건립하고 영정봉안(影幀奉安)함. |
영조 3년 (1727) |
충렬사 현판 사액(忠烈祠 懸板 賜額)받음. |
영조 32년 (1756) |
2월 정헌대부 지중추부사 증 숭정대부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 세자이 사 지훈련원사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특위 증직 사승(特爲 贈職 賜承)함. |
정조 15년 (1791) |
4월 [임경업 실기][林慶業 實記] 편찬. 7월 어제 달천 충렬사비문(御製 達川 忠烈祠碑文) 내림. |
대한민국 (1969) |
임 충민공 충렬사(林 忠愍公 忠烈祠) 사적(史蹟) 제 189호 지정. |
대한민국 (1978) |
11월 충렬사 유적지 복원 성역화(忠烈祠 遺蹟地 復元 聖域化). |
평택임씨 전객령공계 대종회
'전객령공계 대종회 > 대 종 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恭惠公(공혜공) 휘 整 墓碣銘(묘갈명) (0) | 2010.07.14 |
---|---|
고려대전 배향위 봉안문중 대표자 합동참배 (0) | 2010.06.16 |
중시조 휘 임세춘 2~3세조를모신 숭모사 (0) | 2010.05.11 |
전국임씨 중앙회 13차 정기총회(2010.4.29) (0) | 2010.05.01 |
2010년 춘계 재향 참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0) | 2010.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