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시조 휘 임세춘 제단
平澤林氏典客令公系 史略
(평택임씨 전객령공계 사략)
一世祖 : 世子典客令 林世春 公(세자전객령 임세춘)으로 高麗 忠烈王(고려 충렬왕)(1275 ~1308)때에 文科(문과)에 及第(급제) 하였고 主要 職銜(주요 직함)은 世子典客令 兼 衍喜宮府使(세자전객령 겸 연희궁부사)와 判決事(판결사)를 歷任(역임)하였다.
전객령은 국빈의 영접과 대신들의 공궤(供饋: 음식물제공)를 담당하는 관청인 전객시(典客寺)고위 관원이다. 테조4년(921)에 태봉(泰封)의 제도를 본뜬 예빈성(禮賓省)의 후신이다.이 관청은 명칭이 여러번 바뀌었는데 성종(成宗)14년(995)에 객성(客省)으로 고쳐졌으며 뒤에 다시 예빈성(禮賓省)으로 환원됐다.
전객시란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충렬왕24년(1298)에 충선왕(忠宣王)이 선위를 받아 즉위하여 관제를
개혁할 때이다. 충선왕은 예빈성을 전객시(典客寺)로 명칭을 고치고 수장인 판사(判事)직을 혁파하는
대신 경(卿)을 2인으로 증원하였다. 하지만 충렬왕이 곧 다시 복위하여 예빈시(禮賓寺)로 이름을 바꾸었다. 1308년에 다시 왕위에 오른 충선왕은 전객시로하고 영사(領事)2인을 두어 겸관(兼官)으로 삼고 경(卿)을 영(令)으로 고쳐 정3품을 임명하도록 했다. 이같은 관제 개혁의 역사를 살펴볼때 임세춘이 전객령을 맡았던 시기는 충선왕 복위기간(1308~1313)으로 추정된다.이후에도 이 관청의 명칭은 전객시와 예빈시를 넘나들다 공양왕(恭讓王)2년(1390)예빈시가 되어 조선조로 이어졌다.)
世春公(세춘공)의 配位(배위)는 淸州慶氏(청주경씨) 父는 工監侍郞 綏(공감시랑 수)이시다. 墓所(묘소)는 高陽 雙龍洞 癸坐(고양 쌍룡동 계좌)로 記錄(기록)이 傳(전)해지고 있으나 失傳(실전)되어 忠州市 丹月洞 忠烈祠 後山 崇慕祠(충주시 단월동 충렬사 후산 숭모사)에 位牌(위패)를 奉安(봉안)하고 每年 陽曆(매년 양력) 四月 一日에 祭享(제향)을 올리고 있다.
二世祖 : 世春公(세춘공)의 長子 榟公(장자 재공)과 次子 椺公(차자 보공)이 記錄(기록)되어 있는바 長子 榟公(장자 재공)은 高麗 忠定王(고려 충정왕)(1349 ~ 1352)때에 禮儀判書 寶文閣 大提學(예의판서 보문각 대제학)을 歷任(역임)하였다.
次子 椺公(차자 보공)은 통훈대부 첨정 공조판서를 역임했다.
三世祖 : 世春公(세춘공)의 三世는 台順公과 台吉公이 있고 次子의 子 允生 公이 있다. 台順公은 司僕寺尹 平壤府 穆監直(사복사윤 평양부 목감직 )을 歷任(역임)하였고 台吉公은 司馬 文科에 及第(급제)하여 典籍(전적)을 歷任(역임)하였는데 이분의 後孫(후손)들은 典籍公派(전적공파)라 하며 茂(무)公은 文科 通政大夫(문과통정대부) 通禮院 左通禮(통예원 좌통예)였다.
四世祖 : 台順公(태순공)의 長子는 整公(정공)이고 次子는 現公(현공)이며 三子는 寶公(보공)이다. 允生 公(윤생 공)의子 茂 公(무 공)이다.
長子 整公은 地方鄕吏(지방향리)로 立身하여 高麗 禑王(고려 우왕) 11년(1385)에 司憲府持平(사헌부지평)을 거쳐 義州牧使(의주목사)를 歷任(역임)하였고 朝鮮 太祖(조선 태조) 2년(1393)에 工曹典書(공조전서)를 비롯하여 工曹判書(공조판서)와 吏曹判書 等(이조판서 등) 많은 官職(관직)을 歷任(역임)하였다. 諡號(시호)는 恭惠(공혜)이다.
五世祖 : 恭惠公(공혜공)의 長子는 仁山公이고 次子는 命山公이며 三子는 甲山公이다. 長子 仁山公은 文科에 及第하여 嘉善大夫 兵曹叅判 兼 知刑曹事(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지형조사)를 歷任(역임)하여 後孫들을 叅判公派(참판공파)라 한다. 次子 命山公은 逸輔國崇祿大夫 行 吏曹判書(일보국 숭록대부 행 이조판서)를 歷任(역임)하여 後孫들을 判書公派(판서공파)라 한다. 三子 甲山公은 通政大夫 承政院 右承旨 兼 經筵 叅贊官(통정대부 승정원 우승지 겸 경연 참찬관)을 歷任(역임)하여 後孫들을 承旨公派(승지공파)라 한다.
世春公의 次子 椺公(보공)에 曾孫 守謙公(증손 수겸공)은 號(호)가 葛谷(갈곡)이고 文科(문과)에 及第(급제)하여 弘文館 副提學 兼 同知成均館事(홍문관 부제학 겸 동지성균관사)를 歷任(역임)하여 後孫(후손)들은 葛谷公派(갈곡공파)라.하고 있다. 이로서 典客令公系(전객령공계)는 참판공파, 판서공파, 승지공파, 현령공파, 병사공파, 전적공파, 갈곡공파로 大別(대별) 되고 있다. 以下로는 小宗會로 많이 갈린다.
林慶業 將軍(임경업 장군)의 本貫(본관)은 平澤(평택)이며 字(자)는 英伯(영 백)이요 號(호)는 孤松(고송), 諡號(시호)는 忠愍(충민)이다.
2007년 10월에 경기도 파주시 소재 고려통일대전에 배향 되었다.
* 평택임씨의 원래 시조는 당나라 한림학사로 신라시대 우리나라에 와 정착한 임팔급(林八及)이다.
그러나 그후손들의 세계가 전해지지 않아 임세춘을 1세조로 하는 전객령계와 역시 고려 말 삼중대광
(三重大匡)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이 된 임언수(林彦修)를 1세조로 한 충정공계(忠貞公系)로 나뉘어
오늘에 이른다.
참고문헌 : (충주읍지), (평택임씨세보)
'전객령공계 대종회 > 대 종 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임씨 전객령계제27차 정기이사회 겸 총회 (0) | 2010.01.22 |
---|---|
恭惠公 (공혜공 )을 모신 경기.용인시 묘봉리 제단 (0) | 2009.10.06 |
고려대전지(고려역사)구입 안내 (0) | 2009.09.06 |
평택임씨전객령 중시조 1세조(세춘)~5세조 계대표 (0) | 2009.07.25 |
평택임씨전객령 사략과 1.2.3세조를모신 숭모사 (0) | 2009.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