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三綱五倫(삼강오륜)

임홍규 2013. 10. 31. 07:11

 

 

 

 

삼강오륜은 유교(儒敎)의 도덕사상에서 기본이 되는 3가지의 강령(綱領)과 5가지의 인륜(人倫)으로. 원래 중국 전한(前漢) 때의 거유(巨儒) 동중서(董仲舒)가 공맹(孔孟)의 교리에 입각하여 삼강오상설(三綱五常說)을 논한 데서 유래되어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과거 오랫동안 사회의 기본적 윤리로 존중되어 왔으며, 지금도 일상생활에 깊이 뿌리박혀 있는 윤리 도덕이다.

 

 

 

 

               삼 강 오륜(三綱五倫)

 

父 爲 子 綱(부위자강)=아들은 아버지를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君 爲 臣 綱(군위신강)=신하는 군주를 모시는 것이 근본이다.

夫 爲 婦 綱(부위부강)=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이다.

 

 

 

 

                   오륜(五倫)

 

父 子 有 親(부자유친)=아버지와 아들은 친함이 있어야 한다.

君 臣 有 義(군신유의)=임금과 신하는 의가 있어야 한다.

夫 婦 有 別(부부유별)=남편과 아내는 분별이 있어야 한다.

長 幼 有 序(장유유서)=어른과 어린아이는 차례가 있어야 한다.

朋 友 有 信(붕우유신)=벗과 벗은 믿음이 있어야 한다.

 

 

五倫歌

 

 "親"(父子有親)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자애롭구나 부모의 사랑

높고 두터운 부모은덕 끝없는 하늘이라

살아생전 효행지심 돌아가면 애소지심 해가지면 재경지심

아-변함없는 그 사랑 어떠합니까 아-변함없는 그 사랑 어떠합니까

 

 "義"(君臣有義)

임금은 인을 좋아하고 신하는 의를 좋아하니 외롭구나 군신의 의리

성군시의 떳떳한 법도라

나물먹고 물마시고 팔을 베고 배두드리는 태평성대 요순의 치세이니

아-봉황 날고 기린 춤추는 그 광경 어떠합니까

 

 "別"(夫婦有別)

쌍기러기 들고 지아비 지어미 되기를 언약한  모습 아름답구나 부부의 분별

두 성씨의 화합은 사람을 낳는 시초요 만복의 근원이라

부부의 정 깊을 때 만고의 강상은  일성같이 빛나니

아-연약하고 화락한 그 모습 어떠합니까 어떠합니까

 

 "信"(朋友有信)

사람과 말이 뜻 모으니 성실구나 붕우의 의리

벗과 벗의 믿음은 그 덕을 벗하는 벗이라

술익으면 멋 생각 사람사는 세상 즐거움일 것이니

아-숨김없는 그 마음 어떠합니까 숨김없는 그 마음 어떠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