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공 김포종회

족보(族譜) 보는법

임홍규 2013. 10. 24. 06:24

 

 

 

 

                             족보(族譜) 보는 법

 

 

 

(1) 족보를 보면 「나 자신」이 어느 파에 속해 있는지 알아야 한다.

 

(2) 파(派)를 알지 못할 경우는 조상(祖上)이 어느 지역에 살 았고 어떤 파(派)가

    살았던가를 알아야 한다.

 

(3) 그래도 파(派)를 모를 때는 씨족(氏族) 전체가 수록된 대 동보(大同譜)를 찾아

    확인하는 외에는 도리가 없다.

 

(4) 시조(始祖)로 부터 몇 세대(世代) 인지를 알아야 한다. 족보(族譜)는 가로(橫)로

     단을 갈라서 같은 세대(世代)에 속하는 혈손(血孫)을 같은 단(段)에 횡(橫)으로

    배열 하 였으므로 자기세대(世代)의 단만 보면 된다. 만일 세수 (世數)를 모르    

    면  항렬자(行列字)를 헤아려야 한다.

 

(5) 파(派)의 명칭은 흔히 파조(派祖)의 관작명(官爵名) 시호. 아호(雅號)등을

    따라서 붙인 것임.

 

(6) 파를 찾으려면 족보 계보도(系譜圖 )를 보아야 한다. 세 계에는 대략

    분파(分派) 계도를 그려놓고 무슨 파는 몇 권 몇 면이라고 표시되어 있다.

     이 표시가 옛날에는 천 자문(千字文)의 글자로 장(章)을 표시했다. 지금은

     대개 숫자순으로 쓰고 있다.

 

(7) 열(悅)을 기두(起頭)라 한다. 우측에 자진과 도(道)는 열 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표시한 것이다. 그 옆에 사첩 (四疊)은 횡으로 내번 바뀌었다는

    뜻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