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고로 보아주시면 합니다.
부모님 추석 명절 축
維
歲次 癸巳 八月甲戌 朔 十五日 戊子
孝子 ○○ 敢昭告于
顯 考 學 生 府君
顯妣孺人 ○○ ○氏 歲序遷易
時維仲秋 沒寧敢忘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 尙 饗
※ 孝孫(조부) 曾.高祖 玄孫로
※ 顯祖考學生 顯祖비孺人 ○○ ○氏
※ 顯曾祖考學生 府君 顯曾祖비孺人 ○○ ○氏
※ 顯高祖考學生 府君 顯高祖비孺人 ○○ ○氏
※ 昊天罔極을 不勝永慕로 (조상님의 은혜가 커서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조부 이상사용)
축문의 내용.
維(유) “이제,,
歲次(세차)-해의 차례가 이어져 온다는 뜻으로 축문의 상징어다.
癸巳(계사)-2013년 계사년. 8월 甲戌 朔 十五 戊子 孝子○○(長子)
敢昭告于(감소고우)-“삼가 밝게 고함,,
顯考學生 府君(현고학생 부군) 아버지
顯妣孺人 ○○ ○氏(현비유인 ○○ ○씨) 어머니 本貫 姓氏
歲序遷易(세서천역)-세월이 흘러 바뀌어.
時維中秋(시유중추)-때는 가을 추수의 계절8월에 둘째 주.
沒寧敢忘(몰영감망)-돌아가셨다하여 어찌 감히 있겠습니까.
昊天罔極(호천망극)-하늘과 같이 부모님의 은혜가 넓고 크옵니다.
謹以(근이)- 삼가.
淸酌庶羞(청작서수)-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으로.
祗薦歲事(지천세사)-공경하는(삼가) 마음으로 제사를 올립니다.
尙 饗(상 향)-“흠향 하시옵소서,,의 뜻임.
설. 추석 차례 상 차리는 법
※ 위와 같이 차리고. 왼쪽부터 고조부. 고조모. 증조부. 증조모.
조부. 조모. 부. 모님. 순으로 지방을 모시고 배설한다.
※ 명절의 茶禮는 時食(설: 떡국. 추석: 송편)을 주로 제천하는 것이며
형편에 따라 三炙(삼적)을 쓸 수 있고. 추석 땐 송편을 쓰므로 갱
(탕국)을 쓰고 설 땐 떡국을 쓰므로 갱(탕국)이 없어도 된다.
※ 위 진설 차림표는 조율이시이고 홍동백서를 쓰는 가문도 많아
선대 조께서 써 오시든 데로 쓰면 좋을 듯합니다.
※ 보편적으로 많이 쓰는 차림표임으로 참고로 하여주시면 합니다.
'전객령공계 대종회 > 나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년도 별초 연기 안내 (0) | 2017.08.14 |
---|---|
삼실과(三實菓) / 삼색(三色) 과일의 의미 (0) | 2013.09.18 |
계사년 정월 대보름 (0) | 2013.02.23 |
즐거운 성탄절보내시고 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0) | 2012.12.21 |
추사고택(秋史故宅) 문화유적 답사 (0) | 201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