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유의 명절 한가위 인사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폭우에 강풍 폭염속에서도 세월은 흘러 어느덧 9월 상달이 되어
추석이 10여일 남았습니다. 그간 회원님과 종친가족 여러분들께서는
건강하시고 편안하시겠지요?
금년 추석한가위에도 온가족이 함께 즐거운 명절을 보내시고 행복
하십시오. 송편도 많이 드십시오.
수년 모셔온 제사 잘 알고 지내시지만 참고로 아래 명절제사 제향순서 및
기제사와명절제사에 차이점을 안내드리오니 명절제사 모시는데 참고가
되시었으면 감사하겠습니다.
2011년9월2일
평택임씨 전객령공계 대종회장 임 홍 규 드림
명절 제사지내는 순서
① 진설(陳設)
음식을 제상위에 차린다. 왼쪽부터 고조부. 고조모 증조부.
증조모. 조부. 조모. 부. 모님 순으로 배설한다.
② 분향 (焚香)
헌관은 향을 3번 향로에 피우고 뒤로 물러나 두 번 절한다.
③ 강신 뇌주(降神 酹酒)
헌관은 술잔을 받아 모사에 3번 나누어 붓고 뒤로 물러나
읍하고 두 번 절한다.
④ 참신(參神)
모든 참 사자가 조상님을 뵈웁는 절차이다. 남자는 두 번
여자는 4번 절한다.
⑤ 헌주(獻酒)
헌관은 향안 앞에 나가 몸을 숙여 예를 하고 윗대조상님부터
술을 가득 따라 올린다. 차래로 반개하고 윗대부터 떡국에
수저를 놓고 젓가락을 시접위에 잘 놓는다.
※ 설명절과 한가위추석명절은 축문을 안 읽는다.
하나 읽는 집안도 있다. 선택은 알아서 하시면 합니다.
독축(讀祝)
모든 참 사자는 부복하고 독 축자는 축을 읽는다. 독필
헌관은 절하고 모두제자리에
⑥ 삽시정저(揷匙正著)
헌관은 향안 앞에 수저를 내리고 음식 뚜껑을 덥고
저를 3번 구른다.
⑦ 사신(辭神)
모든 참 사자는 남자 두 번 여자 4번 절하고 조상님께 인사 한다.
⑧ 분 축(焚祝)
독 축자는 지방과 축문을 불태운다.
⑨ 철찬(撤饌)
제상위에 제수를 모두 내린다.
⑩ 음복(飮福)
참여한 모든 자손들이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제사가 끝난다.
⑪ 철 기구(撤器具) (모든 제의 기구를 원래 자리에 치운다.)
기제사와 차례의 차이점
1. 기제사.
○. 기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낸다.
○. 기제는 밤에 지낸다.
○. 기제는 돌아가신 조상과 배우자만 지낸다.
○. 기제는 장손의 집에서 지낸다.
○. 기제는 메와 갱을 올린다.
○. 기제는 적을 고기와 생선. 닭(3적)을 따로 담아 올린다.
○. 기제는 술을 3번 올린다.
ㅇ. 기제는 첨잔을 해야 한다.
○. 기제는 합문과 개문을 해야 한다.
○. 기제는 숭늉을 올려야 한다.
○. 기제는 축문을 반듯이 읽는다.
2. 차례(명절제사)
○. 차례는 설 과 추석에만 지낸다.
○. 차례는 낮에 지낸다.
○. 차례는 자기집안 기제사를 지내는 모든 조상에게 지낸다.
○. 차례는 사당이나 묘지에서 지낸다. (물론 집에서도 지낸다.)
○. 차례는 설날은 떡국을 한가위(추석)는 송편을 올린다.
○. 차례는 적을 고기 생선 닭(3적)을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린다.
○. 차례는 술을 한번만 올린다.
○. 차례는 첨작을 하지 않는다.
○. 차례는 숭냉을 올리지 않는다.
○. 차례는 축문을 읽지 않는다.
※ 참고로 보아 주십시오. (제사는 문중과 가문에 따라 다르기에)
'전객령공계 대종회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品位 있는 重年의 12 道 (0) | 2012.06.23 |
---|---|
목사공 김포종회 임원회의 안내 (0) | 2012.02.28 |
국회의원 임영호 '세상과 달리기' 출판기념회에 초청합니다 (0) | 2011.08.26 |
2011년도 제1차 운영위원회 안내 (0) | 2011.03.07 |
좋은 마음이 고운 얼굴을 만든다. (0) | 2010.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