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하지(夏至) 【二十四節氣와 俗節】

임홍규 2019. 6. 22. 10:22



               하지(夏至) 二十四節氣俗節

 

하지는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을 말한다,

하지는 24절기 중에 열 번째 節氣이며.

하지는 태양의 황경이 90° 최고의 상사점에 이르렀을 때이다.

하지는 음력 오월의 中氣. 양력으로는 621일 무렵으로

하지는 芒種小暑 사이에 들어있다.

하지는 천만학적으로는 일 년 중 태양의 적위(赤緯)가 가장커지는 시간이다

太歲丙申이고. 月建甲午이며. 日辰甲戌이고. 節入時刻初辰時이다.

()는 리() 초구(初九)이다.

 

하지의 뜻

낮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을 夏至. 또는 장지(長至)라고 말한다.

하지 무렵이 되면 태양은 황도 상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데. 그 위치를 하지점(夏至點)이라

    한다.

북반부에서는 낮의 길이가 가장길고 태양의 남중고도(南中高度)가 짧고 태 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다.

우리나라의 경우 서울(북위3730)에서 태양의 남중고도는 하지 때에는 7557분이고.

     동지 때에는 293분이다.

정오의 태양 높이가 가장 높고 일사 시간과 일사량도 가장 많은 날이다.

동지에 가장 길었던 밤 시간이 조금씩 짧아지기 시작하여 이날 가장 짧아 지는 반면, 낮 시간은

    가장 길어져 무려 14시간 46분이나 된다.

1년 중 태양이 가장 높이 뜨고 낮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북반구의 지표면 은 태양으로부터

    가장  많은 열을 받는다. 그리고 이 열이 쌓여서 하지 이 후로는 기온이 상승하여 몹시 더워

    본격적인  여름삼복이라는 더위가 시작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