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仁者의 산술 법
옛날 어느 한 고을에 농사를 짓고 사는 노부부가 살고 있었다. 부부는 슬하에 아들 셋을 두었고
남편이 노환으로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다. 부인과 아들 셋을 불러놓고 유언을 한다.
‘임자, 그리고, 아들들아 이제 나는 조상님 곁으로 갈 것
같구나, 소 17마리가 전 재산인데, 장남은 어미 모시고 살아야 하기 때문에 반을 가져가고, 둘째는
삼분의 일을 가져가고, 막내는 구분의 일을 가져가서 잘 키우며 힘껏 살아라‘ 라며 숨을 거두었다.
장례 후 세 아들이 소를 나누기로 했는데 장남에게는 17*2=8.5마리 둘째는 17*3=5.6마리, 막내는
17*9=1.8마리 였다.
소를 잡아서 나눌 수도 없고, 퍽 곤란하였다. 생각다 못해 고을에서 가장 지혜롭고 어진 어른을
찾아가 도움을 청했다.
이들의 얘기를 다 듣고 난 후 仁者는 껄껄 웃으면서, ‘나누기가 곤란하니 내가 소 한 마리를 보태겠소’ 하면서 ‘장남은 18마리의 반인 9마리, 차남은 18마리의 삼분의 일인 6마리, 막내는 18마리 중 9분의 1인 2마리를 각각 가지라’고 했다.
9마리+6마리+2마리=17마리가 된다.
모두 아버지의 유언보다 소를 더 얻게 되어 기뻐했다. 인자는 그들에게 ‘그러면 한 마리가 남는데,
그 한 마리는 내가 본전으로 가져도 되겠구나’ 세 아들은 仁者의 계산법에 무릎을 쳤다.
仁者의 소 한 마리를 보태서 유언보다 더 많이 나누어주고, 인자는 다시 한 마리를 가져간 놀라운
산술법은 나눌 줄 모르는 현대인들의 계산법으로는 상상도 할 수 없는 방법이다.
인자는 자신의 것을 보태어 더 많이 나누어주고 자신에게 손해가 전혀 없고, 세 아들에게는 유언보다 더 많이 나누어 받아서 만족한 이 놀라운 발상은 각박한 현대인과 욕심으로 가득찬 정치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지금우리에게필요한것은
이런 현명한 仁者들이
국회를 가득 채우고,
청와대를 채우고,
공직사회를 채우고,
기업의 리더들을
채웠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 봅니다.
?일월산 황씨 부인의
전설적인 이야기
칼그림자!!..^^???
부부(夫婦)의미담(美談)
http://m.blog.daum.net/swkor38624/404?np_nil_b=1
'전객령공계 대종회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명초(無名草) (0) | 2018.11.20 |
---|---|
? 자기관리 14개항 ? (0) | 2018.11.18 |
● 故事成語 ● 식자우환(識字憂患) (0) | 2018.11.11 |
누가 그럽디다 인생 나이별로 구분을 해보면 (0) | 2018.11.07 |
고전(古典)의 구사(九思) (0) | 2018.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