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주자 십회훈(朱子 十悔訓)

임홍규 2017. 4. 10. 16:29





    주자 십회훈(朱子  十悔訓)  


    朱子(주자):

    송(宋)나라의 거유(巨儒) 주자(주희:朱熹)가

    후대 사람들을 위해 사람이 일생을 살아가면서

    하기 쉬운 후회 가운데 가장 중요한 열 가지를

    뽑아 제시한 것이다.

    흔히 주자의 열 가지 가르침이라 하여

    '주자십훈', 또는 주자의 열 가지 후회라 하여

    '주자십회'라고도 하고. '주자훈'으로 줄여 쓰기도 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매화꽃


    주자 십회훈(朱子 十悔訓)

    <!--[if !supportEmptyParas]--> <!--[endif]-->

    1. 불효부모, 사후회(不孝父母, 死後悔)

    부모님이 살아 계실 때 효도를 다하지 못하면,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난 뒤에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2. 불친가족, 소후회(不親家族, 疎後悔)

    가족들과 평소에 화목하게 지내지 못하면,

    나중에 멀어지고 나서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3. 소불근학, 노후회(少不勤學, 老後悔)

    젊었을 때 열심히 배우고, 부지런히 학문을 닦지 않으면,

    늙어서 배운 것이 없어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4. 안불사난, 패후회(安不思難, 敗後悔)

    편안할 때 장 차의 어려움에 대비해 놓지 않으면,

    나중에 어려움이 닥치고 나서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5. 부불검용, 빈후회(富不儉用, 貧後悔)

    평소 여유가 있을 때 아껴 쓰고 저축하지 않으면,

    가난하게 된 다음에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6. 춘불경종, 추후회(春不耕種, 秋後悔)

    봄에 밭 갈고, 씨 뿌려, 열심히 일하지 않으면,

    가을이 되어 추수할 것이 없어서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7. 불치원장, 도후회(不治垣檣, 盜後悔)

    부실한 담장을 그 때 그때마다 미리 고쳐 놓치 않으면,

    도둑을 맞고 나서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8. 색불근신, 병후회(色不謹愼, 病後悔)

    여색을 가까이하고 이를 삼가지 않으면,

    나중에 건강을 잃어, 병이 들고 나서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9. 취중망언, 성후회(醉中妄言, 醒後悔)

    술에 취해서 술기운에 실수를 하면,

    술이 깨고 나서 이를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 <!--[endif]--> 

     

    10. 부접빈객, 거후회(不接賓客, 去後悔)

    손님이 왔을 때 잘 대접하지 않으면,

    손님이 떠나간 뒤에 뉘우치게 된다.

    <!--[if !supportEmptyParas]--> <!--[end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