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중앙회

새로운 墓碑 문화 사례 소개 (평택관 益山公派 退村종회)

임홍규 2015. 6. 15. 13:53

 

 

 

사례 소개

과거 전통 묘비는  많은 한자로 쓰여져 있어 상징적으로 묘비 표시이고  

젊은 세대  사람들은 읽지도 못하며 아쉽습니다. 이제는 고유명사 외에는

한글화  요약 간결하게 써 짧은 시간에 읽을 수 있고 비문을 가로로

쓰는 것이  효율적일것 같아 본 퇴촌 종회에서 건립한 묘비가 마음에 들어

 소개하오니 비문 문화 사례로 소개합니다.

 

 

평택임씨 익산공파 퇴촌대종회에서는 2015.04.05(일요일) 오후3시에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광동리 산 14번지 선영에서 중시조에 대한 신도비 준공식과 함께 제향을 거행하였다.

충정공 4세 근세(近世), 5세 을재(乙材), 6세 귀극(貴極)의 설단에 묘비를 세우는 한편, 3대조의 통합적 신도비를 수립함으로써 林氏 종인들에게 인근 지역의 타성에 비해 존엄과 자긍을 심어 주고 선조의 유덕을 기리고 년년세세 영구토록 조상을 추앙하고 숭배하는 정신을 발양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날은 아침부터 흐리고 이따금 이슬비가 내리는 우중인데도 3개파 유사를 비롯한 원로 종친들 약 40 여명이 성황을 이뤘다.

준공식 순서는 1부행사 :커텐장막 제막식.   2부행사 :중시조 제향.  3부행사 :공지사항 으로 진행하였다.

준공식 거행장소인 신도비 좌측 및 우측에는 전국임씨중앙회 "임향순"회장이 보내 온 대형화환과 평택임씨 평원부원군파 "임인길"회장이 기증한 대형화환이 식장을 더욱 아름답게 장식해 주었다.

 

 

                                                          중시조 3대조(근세. 을재. 귀극) 묘단

 

                                                         중시조 묘역 전경 (신도비는  하단)

 

                                                                신도비 커텐장막 씌워진 상태

 

                                                 개막식(제막식) 전 기념사진 - 원로종친 및 유사 등

 

                                                             개막식 직후 합동 기념사진

 

                                                                        신도비 묘갈명(비문)

 

                                                            회장(임명본) 인사말씀 및 경과보고

 

                                                                독축(묘갈명 낭독)-임영은 종인

 

 

                                                                         고별 재배(끝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