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곡 풍성한 中秋佳節입니다.
祖上의 恩惠에 감사하고 부모님께 孝道하는 명절이
되길 기원합니다.
금년은 38년만에 이른 추석이라 합니다.
祖上님께 제향을 모실때 참고해 주시면 합니다.
설 명절 축문과 축문내용 설명은 글 중에서 찾아서 참고해 주십시요.
지방 쓰는 법
지방 쓸때 알아두어야 할 점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이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6 cm, 세로 22 cm(2寸, 7寸)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 버린다.
지방 쓸때 알아두어야 할 점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되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한다.
기제사에서 지방을 붙이면 축문을 읽는 것이 원칙이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7 cm, 세로 22.5 cm[3寸, 1尺(周尺22.5cm)]의 깨끗한 백지에 먹으로 쓴다.
상단 모서리를 조금씩 잘라 버린다.
지방을 쓰기 전에 몸을 청결하게 하는 것은 조상에 대한 예의다.
남자 고인의 경우, 벼슬이 있으면 學生(학생)대신에 벼슬의 관직(예를 들면 崇祿大夫등)을 쓰고
그 부인은 孺人(유인)대신에 貞敬夫人(정경부인)을 쓴다.
여자의 지방 孺人 다음에는 본관성씨를 쓴다.
考(고)는 사후의 父(부;아버지)를 뜻하며 妣는 사후의 母(모;어머니)를 뜻한다.
아내의 제사는 자식이 있더라도 남편이 제사장이 되어야 하며, 자식의 제사는 손자가 있어도
아버지가 제사장이 되는것이 기본이다.
지방을 붙일 때 왼쪽이 높은 자리, 오른쪽이 낮은 자리이다. 따라서 신위측으로 보아 왼쪽에
妣. 오른쪽에 考를 쓸 수도 있다.
한 할아버지에 두 할머니의 제사일 경우 가장 왼쪽이 할아버지, 중간이 본비, 오른쪽에 재취비의
지방을 붙인다.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덕부흥 선언문 (0) | 2014.09.19 |
---|---|
파주에 목사공파 휘 득장조 제실 착공 (0) | 2014.09.17 |
2014.8.18.고려선양회 임시총회 거행 (0) | 2014.08.19 |
2014년도 목사공파 김포선조묘역 벌초 안내 (0) | 2014.08.07 |
성씨의 종류와 유래(평택임씨) (0) | 201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