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씨의 유래(林氏의 由來)
임씨(林氏)는 중국(中國) 서하(西河 : 산서성 하동도 임분현)에 은(殷)나라 최후의 왕인 주왕(紂王)의 폭정(暴政)을 죽음으로 직간(直諫)하다가 참형(慘刑)을 당한 비간(比干)의 아들 견(堅)이 장림산(長林山)에 은거(隱居)하면서 성(成)을 임(林)으로 하였다고 한다.
임씨(林氏)의 본관(本貫)은 문헌(文獻)에 249본(本)까지 기록하고 있으나 현존(現存)하는 본관(本貫)은 30본(本) 미만인 것으로 전해지며 그중에서 평택(平澤)과 나주(羅州)가 대표적이다.
평택임씨(平澤林氏)는 우리나라 임씨(林氏)의 도시조(都始祖)로 알려진 임팔급(林八及)이 당(唐)나라 문종(文宗 : 당의 14대왕. 재위기간 : 827~840) 때 한림학사(翰林學士)로 동래(東來)하여 팽성(彭城 : 평택의 고호) 용주방(龍珠坊)에 세거(世居)하였으므로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평택(平澤)으로 하였고. 나주임씨(羅州林氏)는 고려(高麗) 때 대장군(大將軍)을 지낸 임 비(林 比)를 시조(始祖)로 하고 있다.
그 후 오랜 세월이 흘러오는 동안 부안(扶安) · 익산(益山) · 은진(恩津) · 진천(鎭川) · 안동(安東) · 예천(醴泉) · 순창(淳昌) · 장흥(長興) · 옥야(沃野) · 안의(安義) · 울진(蔚珍) 등으로 분적(分籍)되어 세계(世系)를 이어 왔다.
오늘날에 와서 임씨(林氏)는 동조동근(同祖同根)의 자손이란 신념(信念)으로 대동단합(大同團合)하여 「임씨대동보(林氏大同譜)」 편찬(編纂)을 서두르고 있으며. 모든 성손(姓孫)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목사공 김포종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대전 대제 거행(2013.10.5.) (0) | 2013.10.07 |
---|---|
풍요롭고 넉넉한 한가위 되십시요. (0) | 2013.09.13 |
매년 양력 8월15일은 목사공 벌초하는 날 (0) | 2013.08.18 |
목사공파 김포종회 대만여행 (0) | 2013.05.17 |
설 명절행복하게 보내세요. (0) | 2013.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