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處暑) 【二十四節氣와 俗節】
○ 처서는 24절기 중에 14변째 절기이며,
○ 처서는 7월의 中氣이며,
○ 처서는 입추(立秋)와 백로(白露) 사이에 들어있다,
○ 처서는 태양의 황경이 150°에 도달한 시기이며,
○ 처서는 동지(冬至)로부터 244일째 되는 날이다,
○ 太歲는 乙未이고, 月建은 甲申이며, 日辰은 辛未이고, 節入時刻은 初戌時 이다,
○ 괘(卦)는 이(離 육오(六五)이다,
《절입시간》 8월23일 오후 1시38분 (初戌時) (2016년)
일출(日出) = 오전 5시55분[주(晝)=13시19분]
일입(日入) = 오후 7시14분[야(夜)=10시41분]
○ 달뜨는 시간은 오후 1시32분이며, 달 지는 시간은 오전 0시00분이다,
《처서의 뜻》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며, 여름이 지나면서 더위가 가시고 선선한 가을을
맞이하여 결실의 계절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칭 풍속음식과 전설, 속담, 행사와 놀이
1) 처서의 속담
○ 어정칠월 건들팔월,
○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에 천석 감한다,
○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삐뚤어진다,
○ 처서가 지나면 풀도 울며 돌아간다,
○ 처서에 장벼 패듯(어정칠월 동동팔월),
○ 처서에 비가 오면 독의 곡식도 준다,
○ 처서는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
2) 처서에 하는 일
○ 산소에 벌초하기,
○ 여름장마에 젖은 옷이나 책을 그늘에 말리는 陰乾이나 햇볕에 말리는 포쇄(曝曬)하기,
○ 논두렁에 풀 깍기,
'전객령공계 대종회 > 자유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가 들면 (0) | 2019.08.26 |
---|---|
■ 국제적 안목을 가진 세종대왕 (0) | 2019.08.24 |
人間이 갖춰야 할 德目 (0) | 2019.08.20 |
사람에게는 빠지기 쉬운 여덟 가지 잘못 (0) | 2019.08.18 |
무안 회산연지에서 백련에 반하다.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