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객령공계 대종회/자유게시판

무안 회산연지에서 백련에 반하다.

임홍규 2019. 8. 16. 06:29



무안 회산연지에서 백련에 반하다.

 

연꽃을 보러 갔더니 연잎만 보고 왔다. 그 것도 큰 연잎들의 너울거림만 실 컨 본 것이다. 연잎들이 뒤집어져 하얗게 너울거리는 모습은 실로 장관이었다. 그 것은 하나의 군무이자 10만평의 회산연지에서 벌어지는 연잎들의 집단 춤사위였다.



어쩌다 잎들 사이에서 숨은 듯 피어 있는 하얀 연꽃은 알록달록 곱게 피어 있는 여느 연지와는 다른 순박한 자태이다. 그 하얗고 투명한 꽃잎이 왜 그렇게 깨끗하고 결이 없는지, 내 다시 태어나면 저런 꽃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연잎들 사이에 묻혀 숨은 듯 사는 그런 삶 말이다. 온갖 화려함으로 치장하고 온갖 혐오스런 말들과 적개심을 돋우는 언어의 폭력이 판치는 세상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처럼 고고하게 숨은 듯 피어 있는 백련이 얼마나 본받을 만 한가.


이곳 연은 유난히 희고 청초해서 무안백이라 한다. 이 백련은 홍련과 달리 7월 초부터 9월까지 연잎 아래서 보일 듯 말 듯 숨어 피어나기에 화사한 연꽃을 보러 온 사람들은 실망하기 마련이겠지만, 그러나 그게 연꽃의 진수가 아닌가 싶다. 이곳저곳 찬찬히 둘러보며 10만평의 회산연지를 걷는 재미는 그 먼 길을 달려간 만큼 가치롭고 보람된 일이 될 것이다.


예전에는 연꽃들 사이에 비어 있는 공간에는 개구리밥이나 어리연들의 작은 잎들이 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좁은 수로를 따라 너울거리는 연잎 사이로 작은 쪽배를 타는 즐거움도 있었고, 연지를 따라 물가를 돌다 보면 백련 외에도 수련, 가시연꽃, 홍련, 애기수련, 노랑어리연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연들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제는 백련의 그 왕성한 번식력에 치어서인지 점점 자취를 감추고 있었다. 자색으로 솟아오르는 가시연에 반해 카메라를 놓지 못했던 기억이 나서 그곳을 찾아 갔더니 가시연이 보이지 않았다. 다행이 입구 부근으로 옮겨 보호를 하고 있어 그나마 대행이었다.



  지난 날 작은 배를  타고 수로를 따라 유람도 했다.


   용련은 8월이 되어야 제대로 핀다.



원래가 비주류가 강하면 주류가 밀려나기 마련이다. 회산연지가 그랬다. 관광객을 위해 단지를 조성하고 여러 가지 편의 시설이나 부대시설들을 만들어 놨지만 회산연지의 특성에 맞게 연꽃의 보존과 관리가 우선 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고한 백련이 아웃사이더에 자리를 내어주며 점점 밀려가고 있는 것 같아서다.








: 연지를 한 바퀴 도는 데는 약 4, 1시간 조금 넘게 걸린다. 연못 주위로 산책로와 쉼터가 잘 갖춰져 있어 쉬엄쉬엄 여유 있게 걸을 수 있다. 연지를 가로지른 백련교 전망대에 오르면 연지를 한 눈에 바라 볼 수도 있다. 또 북 편 모서리에 있는 항아리 같은 유리건물 안의 수상 온실도 들려 볼만하고, 가까이 있는 인공폭포도 시원해서 좋다. 곳곳에 설치되어 있는 청개구리 조형물에서 연지를 배경으로 인증 샷을 남기는 것도 추억의 한 페지가 될 것이다.

 

            2019. 7. 25. 순천인  정 홍 택


  발 길 (jejumail.scman.kr)에 들어가 보세요. 
 
제주도와 방방곡곡 사진이 실려 있습니다. 


***************************************************************************************


  회산연지는 백련으로 유명하다. 

  이 백련을 보고 시인 묵객들은 수줍고 앳된 처녀를 떠 올리거나 온화한 여인네의 은은한 미소에

  빗대기도 했다.












  바람이 부는 날은 너울거리는 연잎의 춤사위를 볼 수 있다.





  탐방로를 따라 연잎 사이로 걸을 수 있다,






  7월이면 하얀 꽃이 드문드문 피어나기 시작한다.


   가시연 잎의 위용




  백련지를 가로지르는 백련교, 그 중앙에 전망대가 있다.




  청개구리 조형물과 유리 온실 전시관






  유리온실 바로 옆 인공폭포와 분수



  공원에는 여러가지 볼거리와 편의 시설들이 마련되어 있다.


   색색의 우산을 이용한 터널 조형물










정 홍 택 (010-3608-9505)



 

제주도와 우리나라 방방곡곡이 보고 싶으면

저의 홈피 발 길 (jejumail.scman.kr)에 들어가 보세요.

카페  제주도편지도 있습니다.